2025. 4. 7. 22:53ㆍYold의 자격(資格)/Active Senior 강사_위격
"노스텔지스트(Nostalgist)"
미래 일자리 지형도, 어떻게 될까요?
'생산 가능 인구'가 줄어드는 것이 아닌
'소비할 인구'가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소비 여력
자체가 줄어든다는 의미한다.
우리는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 소비 인구를
고령 인구를 AI 기술과 어떻게 ‘연결’하고 ‘활용’할 것인가입니다.
이게 바로 미래 일자리 지형도의 핵심 포인트죠.
https://youtu.be/zu9tGrx9IQs?si=6C1paGzbZqs__Jlu
1. 쪼그라드는 한국 경제
-AI 시대, 70년대생들이 필요한 이유
-고령자 정의 재정립 필요 : 65세~74세가 충분히 경제 사회 활동을 할 수 있다.
-70년대 생 : 정보통신 기술에 굉장히 익숙한 세대, 새로운 기술에 관심을 갖고 계속 학습해야 한다.
2. AI 시대, 자동화로 사라지는 직업들
-기술발전, 기술혁신으로 사라진 직업들(버스안내원, 간판, 통신원, 무인 점포)
-위험군 : 스포츠 경기 심판, 운전사, 통번역사, 현재 인기직업
-유망군 : 의사, 간호사, 성직자, 교사 (감정, 감성과 서로 교감하고 소통하는 직업)
3. "노동과 놀이의 재탄생" 미래학자가 본
"AI 시대엔 '이 직업' 이 뜬다"
-기술혁신 : 첨단바이오, 양자 관련 직업군
-인구구조변화 : 장생시대 설계사, 좋은 죽음 설계사, 노스텔지스트
(AI, VR, MR 기술발전으로 고령자의 향수를 자극해 줄수 있는 노스텔지스, 젊어서 여러 가지 자신의 행복했던 순간들을 이야기 해주면 스토리를 가지고 영상, VR, 홀로그램 만들어줄수있다)
-노동관의 변화 : 노동이란 '인간의 본질을 실현해 나가는 가장 인간적인 활동' (산업혁명 전 정의)
올드한 노동관에 매몰되 있다.
-노동관 재정립 : 호모 루덴스(놀이의 인간, 유희의 인간), 호모 사피엔스(사고하는 인간)가 아니라 노는걸 추구하는 게 인간의 본질이라 정의한다. 노동과 놀이의 경계가 계속해서 허물어지고 있다. 과거 고대 그리스 로마의 귀족들은 생산활동에 참여하지 않았다. 생산활동은 오로지 노예가 다 했다. 귀족들은 노예가 창출한 생산의 풍요를 누리면서 노래 부르고 시짓고 그림 그리며 놀며 살았다. 이것이 인간의 본질이다. AI가 결국은 노예역할을 대체해 인간은 놀이 활동을 통해서 생산하면서 행복 및 보람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노는 것 자체가 상당히 큰 부가가치를 만들 수도 있기 때문에 잘 놀 줄 알아야 한다.
-기후변화 : 내용 없음
4. 'AI 리터러시'로는 부족하다.
젊은 세대가 직장에서 살아남는 법
-한번 배우면 평생일한다란 개념은 끝났다.
-리스킬링 & 업스킬링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그래서 적응력과 회복력이 굉장히 중요하다.
-변화가 빠른 시대에 살면 실패와 좌절을 겪는 것이 너무 당연한 일이 된다. 실패와 자절에서 배우고 이것을 어떻게 기회로 연결시키는것이 중요하다.
-AI 리터러시(AI가 뭔지 잘 알겠어) & AI 플루언시(난 AI를 능숙하게 다뤄), 플루언시가 더 중요하다.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무엇에 적용할지에 대한 지식과 노하우, 경험이 중요한 탤런트가 된다.
-기술 진보, 기술 트렌드에서 눈을 떼지 않고 항상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한다. 그래야 미래에 서바이벌 할수있다.
5. 결론
-AI와 사람간의 협력을 잘 짤야한다.
-AI가 잘하는 영역, 사람은 AI보다 더 창의적일 수 있고 전략적인 부분이 있다. 이런걸 잘 매칭시켜야 한다.
-미래에는 사람과 기술, 기계가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기계가 협업을 한 팀과 또 다른 사람과 기술, 기계가 협업한 팀, 두팀간의 경쟁이 될것이다.
'Yold의 자격(資格) > Active Senior 강사_위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교육 복습 : AI를 활용한 인스타그램 릴스 제작 (0) | 2025.04.05 |
---|---|
3차 교육 복습 : AI 활용한 유튜브 쇼츠 제작 (0) | 2025.04.05 |
독수리의 환골탈태 처럼 ....직업 수명 연장 시키기 (1) | 2025.04.03 |
2차 교육 복습 : 인생 조언자 같은 Chat 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1) | 2025.04.02 |
Chat GPT : 온라인 플랫폼 강사의 실직 위기와 해결책 (1)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