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되기 실천 Ⅴ] 디지털 가계부 쓰기

2025. 2. 1. 13:32신중년 부(富)의 품격(品格)/Wealth Diary_1억 모으기

728x90
반응형
SMALL

종잣돈 없는 투자는 투기다. 
1억이라는 종잣돈 마련을 위해

나는 가계부라는 카드를 꺼냈다.

'경제 전쟁' 중인 지금,

나라가 나를 구제해 줄 거란 기대는 없다.

'각개전투'로 살아남아야 하는 시대, 

나의 첫 번째 생존무기는 가계부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ubivelox.acha&pcampaignid=web_share

 

유플래너 - 자동 가계부, 커플 가계부 - Google Play 앱

따로, 또 같이 쓰는 쉬운 가계부. 번거로운 수기 입력은 NO! 계좌 및 카드 연결로 가계부 자동 입력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nhn.android.moneybook&pcampaignid=web_share

 

네이버 가계부–카드자동등록-NAVER MONEYBOOK - Google Play 앱

스마트 폰뿐 아니라 PC에서도 확인하는 네이버 가계부! 가계부, 한 달도 못 가고 포기했다면? 카드와 은행 문자가 자동​​으로 등록되는 네이버 가계부 앱!

play.google.com

728x90

첫 시작은 네이버 가계부였다. 하지만 서툴렀다. 
신혼시절, 남편 회사에서 새해 다이어리와 함께 가계부를 배부했던 시절 썼던 가계부 말고는 10년 넘게 써본 적이 없다. 솔직히 매달 적자에 시달리니 기록할 이유를 찾지 못했다.
2년마다 전셋값을 올려줘야 했고, 어느 집주인은 1억을 인상 요구적도 있었다.
절약을 해도 주거비용에 막대한 자금이 들자 가계부 쓸 의욕을 잃었다.
내 집 마련 이후 대출이자와 원금 상환까지 하다 보니 통장은 늘 마이너스였고 가계부는 관심 밖의 일이었다.
 
그러다 투자를 시작하려다 보니 종잣돈 한 푼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25평에서 33평으로 갈아타기를 시도했지만 정부가 가계대출 규제를 시작하면서 시도는 물거품이 되었다.
아파트 청약을 넣고 싶었으나 또 정부가 대출한도와 금리로 규제를 남발하는 바람에 청약 기회 또한 날아가 버렸다.
종잣돈 없이 대출만 믿고 투자를 시작하려 했던 내가 얼마나 무지했는가를 알아버린 순간 정신이 번뜩 들었다.
자기 자본, 종잣돈이 있어야 투자를 시작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다시 가계부를 꺼내 들었다.

시대가 변해 종이 가계부는 디지털 가계부로 바뀌었다.
네이버 온라인 가계부에 매일매일 지출 내역을 기록했다.
편리하게 파이 차트로 분석도 가능하고 항목별 취합도 가능했다.
한 달 후면 어느 항목에서 지출이 많았는지 어떤 항목을 줄여 나갈지 한눈에 보기 편하게 되어있다.
다른 가계부 app도 많지만 네이버가 가장 기재하기 편리하게 되어있다.
하지만 너무 오랜만에 써보는 가계부라 꼼꼼히 기재하는 것이 서툴렀고 빼먹는 지출도 생기기 시작했다. 
습관화돼있지 않다 보니 가계부 쓰는 것이 점점 귀찮은 일과가 되어 버렸다. 
또한 가족들 지출 내역이 빠져 반쪽자리 용돈기입장이 되고 말았다.
 

이에, 2025년 1월 1일부터 가족들에게 협조를 구하고 유플래너 가계부를 함께 사용 중이다.
유플래너 가계부는 배우자의 은행 계좌 및 신용카드 내역까지 공유가 되어 네이버 가계부 보다 훨씬 편리하다.
현금 지출 내역만 수기로 기입하면 모든 금융생활을 한눈에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금융 정보를 유플래너와 공유해야 하는데 사실 정보 공유에 민감한 입장에서 초반 며칠은 망설였다.
개인 금융 정보가 순식간에 공유되어 만천하에 공개되는 공포감이 들었고 개인 소비지출 내역이 벌거숭이처럼 까발려지는 기분이 들어 소름이 돋았다. 난 그런 정보 공유에 민감한 디지털 포비아 증상이 있다.

하지만 유플래너의 편리함은 디지털 포비아 증상을 뛰어넘기에 지금까지 열심히 사용 중이다.
특별히 수기로 작성할 일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올해부터는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경제 상황이니 고정비를 줄이고 종잣돈 마련을 할 수 있도록 꾸준히 사용해 봐야겠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