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30. 15:47ㆍ신중년 부(富)의 품격(品格)/Stock Investment
Day 1. 필수 회계어로 기초 개념 다지기 : 회계한다=돈의 정보를 읽는다.
1. 재무상태표 : 회사의 건강검진표 => 자산(돈이 벌어다줌) = 부채(남의 돈) + 자본(내돈)
자산 = 부채 + {자본 + 수익(번돈/매출) - 비용(쓴돈) - 배당}
2. 손익계산서 : 회사의 사업 성적표 => 수익(돈 번 것) - 비용(돈 벌기 위해 쓴 것)
3. 자본변동표 : 회사의 자본 투명 차트 => {자본 + 수익 - 비용 - 배당}
4. 현금흐름표 : 회사의 현금 추적자 => 통장의 입출금과 현금 잔액을 보여주는 표
5. 주석 : 재무제표 읽기 도우미
6. 연결재무제표 : 모회사와 자회사의 재무제표를 합친 재무제표 (제목앞에 '연결' 이란 단어 붙음)
별도재무제표 : 자회사를 제외한 모회사의 재무제표(그냥 재무제표 모두)

페이지 28 상세 그림

페이지 29 상세그림

페이지 31 상세그림 : 사업을 잘하면 자본이 증가하고 못하면 자본이 감소한다. 손익계산서를 꼼꼼히 봐야하는 이유다.
Day 2. 재무상태표 읽기 Ⅰ : 자산
1. 이 회사가 망할까, 안 망할까? 궁금할땐 => 유동자산 체크
2. 유동자산(1년 이내에 현금화 해 빚을 감당하는 빛나는 자산) => 유동성을 의미함
3. 유동비율 (곧 망할 회사인지 감별하는 지표)
-유동자산 100억 ÷ 유동부채 50억 X 100 = 200% (현금이 빚보다 2배 많음, 단기유동성 양호)
-유동자산 50억 ÷ 유동부채 100억 X 100 = 25% (빚이 현금보다 4배 많은, 곧 망할 회사)
4. 당좌비율 (돈 갚을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
-당좌자산 100억 ÷ 유동부채 100억 X 100 = 100% (1년안에 갚을 빚을 감당할 현금자산이 있음)
-당좌비용이 100% 이상 =>단기유동성이 좋다 / 100% 미만 =>빚이 더 많다 / 30% 미만 => 위험하다
-단기유동성 양호 조건 : 유동비율 200%이상, 당좌비율 100% 이상 (유통업 제외)
5. 재고자산 (이 회사 뭘 파는거야 / 제품과 상품을 포함한 자산)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원가 ÷ 평균재고자산 = 5.28(일수)
-365 ÷ 5.28 = 69일 (재고 자산이 팔리는 속도)
6. 매출채권 (팔았으면 돈받아야지/제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 제공 후 받을 외상대금)
-매출채권(주된 영업활동 후 받을돈)/ 미수금(임대료, 중고물품판매 등 영업 외 거래에서 받을 돈)
-매출액 ÷ 평균매출채권잔액 = 40.07(일수)
-365 ÷ 40.07 = 9일 (현금으로 받아내는 일수)
7. 투자자산 (회사가 여유자금으로 투자수익을 내려고 구입한 재테크용 자산)
-Cash is trash(현금은 쓰레기다) : 회사도 재테크 한다.
-재무상태표에서 '금융상품, 금융자산, 투자' 이런 단어가 들어가면 투자자산이다
-SK텔레콤 : SK하이닉스 지분 20.1% 소유 (둘은 관계기업/ 투자이익봄)
8. 유형자산 (영업활동에 사용하고자 구입한 자산)
-매년 감가상각된다
9. 무형자산 (영업활동에 필요한, 그러나 보이지 않는 자산)
-산업재산권, 개발비, 소프트웨어, 회원권, 영업권 등
-무형자산 상각비 있음
Day 3. 재무상태표 일기 Ⅱ : 부채와 자본
1. 선수금 (미리 받는 좋은 부채,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미리 받는 돈)
-헬스클럽이용료, 결혼주선료, 인터넷강의프리패스료, 선인세, 선금, 중도금, 잔금
-회사경영의 큰 힘이 된다 (수주산업에 중요한 계정)
-선수금은 부채지만 선급금은 자산이다.
2. 매입채무 (외상으로 사 왔으면 매입채무, 제조에 필요한 재료비 또는 외주비 등의 외상대금)
-매입채무(제품을 팔기위해 외상 진것), 미지급금(사무실임차료 등 매입채무가 아닌 줄 돈)
3. 차입금 (대출의 다름 이름, 빌린 돈, 이자를 내야 하는 나쁜 부채)
-부채비율 : 부채총액 ÷ 자본총액 X 100 = 100% 미만 (우량기업), 200~300% 부채가 2~3배 많다는 뜻
-월터 슐로스 유동비율 200%, 당좌비율 100%, 부채비율 100% 미만인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
-단 수주산업기업은 선수금으로 인해 부채비율이 증가했는지 확인 필요
4. 자본금 (내 돈, 초기 투자금, 회사가 발행한 주식 액면가의 합계금액)
- 회사가 자본금을 늘리는 방법 : 부채나 자본을 늘리면 된다.
5. 이익잉여금 (사업을 잘했다는 증거, 회사의 순이익이 쌓여 있는 순이익의 누적금액)
-현금이 아니라 이익 누적금액을 숫자로 보여줄 뿐
Day 4. 손익계산서 읽기 : 수익과 비용
1. 매출총이익 (마진의 진짜 이름,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고 남은돈, 제품의 마진)
-빵 하나 판 돈이 매출액, 빵 만드는데 들어간 돈은 매출원가, 빵 하나 팔고 남은 돈은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 매출액 X 100 = OO % (생산경쟁력 지표, 높을수록 생산효율성 좋음)
-제조업의 경우 동종업계와 비교 중요 (IT, 게임, 금융, 서비스업은 매출총이익률이 없다)
2. 판매비와 관리비 (팔기위해 쓴돈, 판매할 때, 관리할 때 쓰는 돈)
-광고, 홍보,관리팀 비용, 유통수수료 등 (화장품업계가 많이 씀)
3. 영억이익 (회사 본업의 경쟁력)
-매출액 (회사의 시장점유율), 매출총이익 (회사의 생산 효율성), 영업이익 (회사의 시장 경쟁력)
-영영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액 X 100 = 동종 업계끼리 비교
4. 영업외 비용 (영업외 비용이 많은 회사를 조심하라)
5. 당기순이익 (회사가 최종적으로 손에 쥐는 몫, 세후 이익)
-주주의 몫 : 배당이 되기 때문
-당기순이익이 급격히 증가하거나 감소했다면 이유를 꼭 살펴봐야 한다.
-당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매출액 X 100 = 10.26% (만원에 팔고 1,026원이 손에 남는다는 뜻)
Day 5. 현금흐름표 읽기 : 현금과 현금흐름
1. 현금흐름 (기업의 영업, 투자, 재무활동으로 현금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
-영업통장 : 제품 만들고 판매 관리 등 영업활동 통장
-투자통장 : 자산과 관련 있는 재테크 투자 통장
-재무통장 : 부채, 자본과 관련된 자금 조달 통장
2. 좋은 회사 패턴 : 영업통장(+) 투자통장 (-) 재무통장 (-)
-LG 생활건강 : 영업잘해서 항상 돈이 들어오고 (+) 적극적으로 투자하니 (-)고 투자해도 돈이 남으면 배당하거나 빚 갚음(-) => 피(현금)가 잘도니 건강한 기업
3. 성장하는 회사 패턴 : 영업통장(+) 투자통장 (-) 재무통장 (+)
-에스원 : 영업해서 현금 들어옴(+) 에버랜드 인수 투자 (-) 인수자금 부족해 대출받음 (+)
4. 망하는 회사 패턴 : 영업통장(-) 투자통장 (+) 재무통장 (+)
-K제약 : 영업으로 돈 못 벌음 (-) 돈이 없으니 가진 자산처분해 현금 만듬 (+) 그조차도 안돼면 대출받음 (+)
-곧 상장폐지 될 현금 흐름표
Day 6. 주린이를 위한 재무제표 100% 활용법
1. 감사의견
(주식투자 시 필수 점검 1순위, 공인회계사가 회사의 장부에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꼼꼼하게 감사하고 내는 의견)
-적정의견 : 장부와 회사상태가 일치한다(맨 끝을 본다'중요성의 관점에서 공정하게 표시하고 있습니다' 란 문구가 중요)
-비적정의견 : 장부와 회사상태가 일치하지 않는다 (부적정의견, 의견거절, 한정의견)
-부적정의견 : '중요성의 관점에서 공정하게 표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 상장 폐지도 될 수 있다.
-의결거절 : 감사인의 의문에 확실한 증빙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 => 상장 폐지도 될 수 있다.
-한정의견 : 재무제표에 약간의 문제는 있지만 부적정의견 또는 의견거절을 낼 정도는 아닌경우 => 이 회사 걸르라는 강력한 신호
-회사 주주총회 3/31, 1주일 전 (3/24)에 감사보고서 제출을 공시해야함. 조율이 안돼서 제출못하면 주가 떨어짐. 무엇인가 문제가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 => 전자공시시스템에서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꼭 확인할 것
2. ROE (주주의 돈으로 얼마를 남겼는지 보여주는 주주의 투자수익률)
-15% 이상인 기업 찾기
3. ROA (기업이 전체 자산을 얼마나 잘 이용했는지, 효율적으로 운용했는지, 경영자의 투자수익률)
-5% 양호 (경쟁사와 동종 업종 평균 함께 볼것)
4. PER (주식가격과 기업의 이익 비교)
-기업의 실적보다 상대적으로 주식가격이 싸면 PER이 낮다(저퍼주) 반대면 PER이 높다(고퍼주).
-PER 10 = 10년이면 투자원금 회수, 10년간 순이익을 모두 더하면 현재 시장가치가 된다는 의미
-삼성전자 PER 24.49 (원금회수 24년), 기대수익률 4.08%
-기대수익률 : PER의 역수 (1/PER)과 시중금리를 비교해 보면 PER의 역수가 금리보다 높으면 기업의 현재 주가가 싼 것이다.
-PER의 역수 : 1/24.49=0.0408 X 100 = 4.08% (현재 금리와 비교할것, 높은가 낮은가?)
5. PBR (주식가격과 기업의 순자산가치 비교)
-기업이 망해도 남는 순자산에 비교해 주식가격이 싸면 PBR이 낮다 반대로 주식가격이 순자산보다 비싸면 PBR이 높다.
-PBR 0.67=1미만(할인가)이면 기업의 순자산보다 시장가치(주가)가 낮다는 뜻이다. => '가치주'란 의미
6. 업종 평균 PER과 PBR 궁금하다면, 한국거래소에 접속해 [정보데이터시스템]-[지수]-[주가지수]-[PER/PBR/배당수익률]을 클릭해 확인해 보자
7. 재무비율 (기업을 완벽하게 독파)
-안전성 비율 : 망하지 않는가? (채권자)
-수익성 비율 : 얼마나 남는가? (투자자)
-활동성 비율 : 영업활동이 활발한가? (경영자)
-성장성 비율 : 빠르게 잘 클까? (투자자)
-MTS에서 재무비율 찾는 방법 : 주식 현재가 화면-종목상세-간략 재무지표확인
'종목상세' 옆에 '재무' 클릭-연도별/분기별 재무 정보, 수익률, 가치비율 확인
'기업정보 바로가기' 클릭-에프앤가이드 모바일 버젼으로 연결됨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좌측[주제별]-12번 항목 '기업경영분석' 클릭
우측 상위 메뉴 원하는 카테고리 선택(자산-자본의 관계비율 선택)
하위 메뉴에서 원하는 항목 선택 (종합 선택)
원하는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업종과 지표선택 (업종-운수/창고업, 지표-유동비율/당좌비율 선택)

Day 7. 실전! 재무3표 스피드 독해
'신중년 부(富)의 품격(品格) > Stock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주 챌린지] 삼성전자 5만 전자 만들기 (6) | 2025.02.03 |
---|---|
[모의주식] 종목별 평균 매입 단가표_1/31 (2) | 2025.01.31 |
인플레이션시대 월급쟁이 재테크_우용표 (0) | 2025.01.30 |
소수몽키의 한 권으로 끝내는 미국주식_소수몽키 (6) | 2025.01.30 |
돈의 패턴_짐 쿨렌 (2) | 2025.01.30 |